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단행본

핀란드 역사: 자유와 독립을 향한 여정

개인저자
김수권
발행사항
고양: 지식공감, 2019
형태사항
349 p. ; 23 cm
ISBN
9791156224440
청구기호
923.6 김57ㅍ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7145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714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자유와 독립을 향한 여정 핀란드 역사』는 저자가 핀란드 현지에서 직접 거주하며 직접 들었던 사실들과 고증에 입각한 자료를 토대로 만들어졌다. 핀란드라는 낯선 나라를 통해 우리나라가 겪었던 역사적 사건들을 떠올릴 수 있게 한다는 것은 새롭게 다가온다.
『자유와 독립을 향한 여정 핀란드 역사』는 핀란드의 역사를 자유와 독립이라는 관점에서 조망한 것이다. 북유럽 끝에 위치한 작은 나라 핀란드가 자유와 독립을 지키고 발전시켜 나가는 긴 여정을 그렸다. 특히 1917년 핀란드가 독립한 후 2번에 걸친 전쟁, 소련과의 전쟁과 패배한 이후 위기 앞에 선 핀란드의 대 소련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핀란드가 어떻게 생겨났으며 비록 작은 나라이지만 강대국 소련과의 관계에 있어서 자유와 독립을 유지하기 위해 무엇을 양보하고, 무엇을 지켰으며, 어떤 위험을 무릅썼는지에 대해 인물과 사건 위주로 상세하게 묘사했다.

자일리톨, 북유럽의 복지국가, 산타클로스의 나라 등등 여타 다른 북유럽 국가보다는 핀란드에 대해 조금 더 알고 있는 우리나라다. 하지만 이러한 단편적인 정보로는 전달할 수 없는 핀란드의 역사에 대해서 말하는 책은 없었다.
저자 김수권은 외교공무원으로 오랜 세월 지냈으며 다양한 나라에서 근무했지만, 그중에서도 ‘핀란드’라는 나라의 새로운 매력에 빠져 개인적인 관찰과 탐구의 시간을 통해 『자유와 독립을 향한 여정 핀란드 역사』를 써내려갔다. 그만큼 핀란드에는 우리나라 사람에게도 어필할 수 있는 매력이 있던 것이다.

강대국 사이에 낀 약소국이란는 동질감
『자유와 독립을 향한 여정 핀란드 역사』는 오늘날의 핀란드가 있기까지의 과정을 대외 정책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하고 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핀란드의 대 소련 관계는 강대국과 이웃하고 있는 작은 나라의 생존 전략의 한 예로서 우리도 자연스럽게 갈만한 주제이다.
핀란드의 대 소련 정책은 작은 나라가 강대국 틈바구니에서 살아남기 위한 불가피한, 더 나아가 현명한 선택이었다는 평가가 있는 반면, 소련에게 지나치게 굽실거리는 유화정책이라는 평가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가 그렇듯이 한 나라의 역사를 그렇게 일도양단하는 식으로 정의하는 것은 위험하다. 2차 대전 이후 특수한 핀란드의 대 소련 정책은 1944년 휴전 이후 1980년대 초반까지 이어지는 긴 기간이며 그동안 행위자가 다르고 시대적 환경도 바뀌었다. 이 책은 이 시기 핀란드의 대 소련 외교에 대해 비교적 자세히 보여주고 있고 각종 자료와 문서 같은 구체적인 증거들을 제시함으로써 기술과 평가에 있어서 객관성을 보이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책은 핀란드의 역사와 핀란드의 대 소련 외교정책을 국내에 소개하는 데 의미 있는 참고가 될 것으로 본다.

사실과 판단을 통한 합리적인 내용 전달
책을 읽다 보면 정확한 사실만을 전달하기 위한 저자의 노력이 보인다. 그렇기에 원문 중 일부를 가져와 직접 번역을 통해 설명한 부분도 있으며 어감 때문에 일부러 사용한 단어들도 있다. 한 나라의 역사를 설명한다는 것은 책임감 없이 할 수 없는 일이다. 분명히 핀란드의 역사를 말할 때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핀란드를 처음 접하는 이들에게 최대한 객관적인 시선을 통해 전달하고자 한 저자의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목차

머리말

독립 이전의 핀란드
핀란드의 기원
스웨덴 시대
러시아 시대(1809~1917)

독립과 성장의 시기
독립, 그리고 홀로서기

두 번에 걸친 소련과의 전쟁
겨울전쟁(1939.11.30.~1940.3.13.)
계속전쟁(1941.6.25.~1944.9.19.)

파시키비 라인
2차 세계대전 이후의 핀란드
파시키비 라인
2차 세계대전 이후 핀란드 공산당
핀란드 사회민주당 지도자
베이뇌 탄네르(Vaino Tanner)
핀란드-소련 우호협력상호원조협정

케코넨 시대의 명과 암
케코넨 시대의 대 소련 외교
밤의 서리(Night Frost) 사건
노트 위기(Note Crisis) 사건
케코넨의 노르딕 관련 제안들
케코넨 시대 핀란드의 대외 경제 관계
케코넨 시대의 대 유엔 외교
헬싱키 프로세스
1973년 케코넨 대통령 임기 연장 문제
핀란드 헌법 개정의 역사
자율 검열
핀란드와 소련 사이에 발표된 공동성명

새롭게 시작하는 여정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