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기증도서김상현목사가족기념석좌기금 총서 2

공감, 교회역사 공부

Study of church history for mutual understanding

개인저자
임희국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14
형태사항
662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김상현목사가족기념석좌기금 총서
ISBN
9788973693436
청구기호
236.911 임98ㄱ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G0015338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001533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이 책은 세계화시대(19세기 이래로) 기독교의 변화를 반영한 연구결과물이다. 유럽(서양)의 종교였던 기독교가 해외 선교를 통하여 세계보편 종교가 오늘날, 또 서양의 기독교가 크게 위축되고 쇠퇴하는 동안에 아시아(특히 한국)의 기독교가 크게 신장된 현실에서, 이제 우리는 세계 기독교의 다양성과 특성에 주목하고 이 점을 반영하는 교회사연구를 구상하게 되었다. 이 구상은 포스터모던(post-modern) 시대의 역사연구방법론인 ‘탈(脫) 중심’경향에 상응하여 세계 교회사연구의 ‘탈(脫) 유럽/북미 중심’으로 시도되었다. 이를 통해 교회사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을 모색하게 되었다.
이 책의 지은이는 세계보편 종교가 된 기독교의 ‘지역교회사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그것을 의식하면서 탈 유럽/북미 중심의 한국적인 교회사 연구방법을 모색했다. 한국적이라고 해서 ‘우리끼리’ 만의 배타적인 자세를 가지지 아니 하고, 열린 자세로 상호 대화를 통하여, 세계보편 종교가 된 기독교의 현실을 분석하고 해석하면서 한국 기독교의 정체성/특성을 우선적으로 찾아내는 교회사 연구를 추구했다. 이 관점은 요즈음에 기독교의 세계화(globalization)와 지역화(localization)를 동시에 추구하려는 ‘glocalization(세계화-지역화)’과 거의 동일한 취지를 갖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물로서 지은이는 18편의 논문과 4편의 강연원고를 이 책에 실었다.

| 독자 대상 |

- 신학을 전공하는 신학생 및 일반 신학생
- 교회 역사를 인도하는 목회자 및 일반 성도
- 성경공부를 인도하는 목회자 및 일반 성도
- 조직신학을 가르치는 교수와 신학자
목차

● 머리말

Ⅰ 세계화 시대, 지역 교회사 연구

Ⅱ 지역 교회사 연구 논문

1. 19세기 말 외국인 선교사들이 이해한 한국의 대중 생활 문화
2. 1890년대 한국의 사회 상황에 대한 외국인 선교사들의 이해, 동학 농민 운동과 단발령을 중심으로
3. 19세기 말 경상북도 대구, 미국 선교사들의 복음 전파: 열정, 문화 충격, 헌신, 소통
4. 숭실대학교 초대 학장 윌리엄 베어드(William M. Baird)의 에큐메니칼 활동
5. 한글 성경 번역 과정에서 일어난 하나님 이름(神名) 채택 논쟁
6. 20세기 초반 한국 장로교회의 신앙 각성 운동, 1907년 평양의 신앙 운동을 중심으로
7. 주후 1907년 전후, 한국 장로교회 토착인 교회 지도자 형성 과정
8. 19세기 말-20세기 초반, 장로교회의 기독교 학교 설립
9. 1930년대 장로교회 여성들의 자의식(自意識)과 여성 치리권 청원(1933)
10. 일제 강점기 장로교회의 농촌 운동, 경상북도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11. 제1공화국 시대(1948-1960) 장로교회의 정치 참여, 이와 관련된 한경직 목사의 설교
12. 한경직 목사의 연합과 일치 운동, 1945-1960년을 중심으로
13. 한국 장로교회의 분열에 대한 회고, 일치를 향한 전망
14. 21세기, 대전환의 시대에 상응하는 신학 교육

Ⅲ 16세기 개혁교회, 한국 장로교회

1. 스위스 취리히 종교개혁자 츠빙글리의 경건
2. 츠빙글리(H. Zwingli)의 사회 윤리, 아투어 리히(A. rich)의 시장 경제론
3. 츠빙글리 종교개혁의 유산과 한국(평양) '장로회신학교' 신학 교육

Ⅳ 강연 모음
1. 생명을 살리는 목회
2. 한국 교회를 부흥 운동의 역사와 예장 300만 성도 운동
3. 세계 교회 에큐메니칼 운동에서 본 '생명 살리기 운동 10년'(2002-2011)
4. 한국 교회, 연합과 일치의 역사와 미래 패러다임 펼처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