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단행본NEW

북한경제는 죽지 않았습니다만

발행사항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2025
형태사항
242 p. : 23 cm
ISBN
9791160689723
청구기호
322.111 김64ㅂ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20228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2022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북한경제를 모르고 북한을 말하지 말라

우리에게 북한은 위기가 일상화된 곳으로 알려져 있다. 매일 전해지는 북한 뉴스는 그들의 위기를 증명하는 사건, 사고로 채워진다. 특히 북한의 경제는 정상적인 모습이 떠오르지 않을 정도로 ‘위기’라는 단어가 함께한다. 북한의 핵무기 개발은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로 이어졌고 고립된 북한은 무너질 일만 남은 것 같았다. 그렇게 북한은 언젠가 붕괴할 나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북한경제는 죽지 않았다. 아니 우리가 따라가지 못할 정도로 하루하루 역동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1990년대 중반 식량난 속에 등장한 시장은 돌이킬 수 없는 생존공간으로 북한 사회에 자리 잡았다. 기업은 북한식 시장경제에서 이익을 위해 경쟁하고 있으며 비공식 인력시장은 일상의 한 장면이 되었다. 멈춰버린 듯한 북한이란 사회에서 어떻게 이런 변화가 가능한 것일까?
저자들은 이 책에서 무자비한 정치체제라는 이미지에 가려진 북한경제의 다양한 변화상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남북관계가 파국을 맞은 상황에 무슨 북한 연구냐는 비판을 마주하면서도 연구를 멈추지 않았다. 북한의 변화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면, 우리의 미래 또한 제대로 그려낼 수 없기 때문이다.
목차

Prologue

Ⅰ. 김정은 시대의 경제정책 / 김영희
1. 국가발전전략: 경제·핵 건설 병진
2. 대내 경제정책: 분권에 의한 국가경제관리
3. 대외 개방정책: 전국의 특구화
4. 산업정책: 가시적 성과 위주의 산업 선택과 집중
5. 인재정책: 전민 과학기술 인재화

Ⅱ. 기업의 변화 / 황주희
1. 원자재 수급: 최대한 재활용을 합시다
2. 경영자금 확보: 수수료와 민간자본
3. 가격과 판매 관리: 기업이 주체가 되어
4. 기술개발: 산 · 학 · 연 똘똘뭉쳐
5. 마케팅: 브랜드 PR시대

Ⅲ. 소비재시장의 변화 / 선슬기
1. 시장 확산: 전역에 퍼져 있는 종합시장
2. 시장 내부 변화: 소비자 밀착형으로
3. 상품 다양화: 수입품 VS 국산품
4. 유통채널 다각화: 공식과 비공식의 두 얼굴
5. 재정 확충: 시장이 불러일으키는 재정 빌드업

Ⅳ. 노동시장의 변화 / 장혜원
1. 직업과 일자리: 공식 직업과 비공식 일자리
2. 붉은 자본가: 임금 노동자를 고용하는 사람들
3. 노동력 중개인: 누가 유휴노동력을 잘 아나?
4. 북한식 수공업 단지: 그물마을, 초물마을, 마광기마을
5. 통제와 활용: 당국의 공식 통제와 비공식 활용

Ⅴ. 금융의 변화 / 최재헌
1. 현금 증가: 시장거래로 늘어나는 현금
2. 돈의 행방 찾기: 전자결제카드 사용 권장
3. 외국 화폐 선호: 위안화, 달러로 주세요
4. 상업은행 등장: 주민 보유자금을 유치하라
5. 사금융 번창: 고리대에서 벗어나고 싶어요

Ⅵ. 지방경제의 변화 / 윤세라
1. 법의 탄생: 지방경제 관련 법 첫 등장
2. 북한식 새마을운동: 김정은 시대의 농촌발전
3. 지방공업: 매년 20개 군을 10년간 발전시키자
4. 세원의 다양화: 각자도생 지방재정의 원천
5. 해외투자 유치: 지방 경제개발구, 실행은 아직

Ⅶ. 대북 제재와 북한경제 / 정일영
1. 제재의 원리: 사람, 돈, 물자를 막아라
2. 제재의 비밀: 무시무시한 달러의 힘
3. 제재의 영향: 쪼그라든 대외 무역
4. 정면 돌파: 자력갱생과 수입대체 산업화
5. 뉴 플랜: 제재의 이완과 새로운 출구전략

Ⅷ. 북한 경제는 아직 살아있습니다만 / 김영희

참고자료